주식투자 멘탈잡는 방법

반응형

1년 반이라는 길면 길지만, 주식 투자로 보면 엄청 짧은 시간에서, 제 나름대로 투자를 하면서 여러 공부를 했었죠.

저는 열심히 공부하고 경험을 쌓으면 단기적 변동은 예측하지 못해도 중장기적인 큰 흐름은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게 될 거야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주식 앞에서는 한 없이 겸손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 못했죠. 아무 이유 없이 폭락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주식이라는 것을 까맣게 잊어버렸죠.

삼성전자가 9만원을 찍고, 역대급 실적을 계속해서 발표했어도 주식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었습니다.

장기투자 관점에서 결국 주가는 실적을 따라간다는 것은 머리로는 이해하고 있었지만, 아무 이유 없이 쭉쭉 빠지는 주가를 보면 한숨만 나왔죠.

3월에 있을 금리인상까지해서 연초부터 참 주식 시장이 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하면, 내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내 삶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주식투자주식투자주식투자
주식투자 멘탈잡는 방법

1. '이 돈은 내 것이 아니다'

빅터 프랭클의 로고테라피라는 치료기법에는 역설 의도라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두 가지 기본 가설을 전제로 하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1. 마음 속의 불안이 실제로 두려워했던 일을 현실로 만든다.

2. 지나친 주의집중은 오히려 우너하는 일을 불가능하게 한다.

 

불안이 과도해지게되면, 그 두려움으로 인해 비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거나 하지 않았을 실수를 반복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실제로 나쁜 일이 생긴다는 이야기입니다.

신기하게도 이 이론은 주식투자를 하는 우리의 모습에 정확히 반영됩니다.

종일 주식 창을 들여다보면 돈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자꾸 실수하게 됩니다. 장기투자를 하기로 그렇게 맹세해놓고 사고팔기를 반복하게 되죠.

이것은 의지가 나약해서가 아니라 평소보다 10% 더 불안해지면 전두엽의 판단력과 계산적 사고, 통합적 수행능력이 10% 떨어지게 됩니다. 여러분의 탓이 아니라, 여러분의 몸이 반응을 하게 되는 것이죠.

어쩔 수 없이 집중하면 집중할수록 더 불안해지고 결국 비 이성적인 실수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역설 이론을 대입하게 되면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돈을 잃는 게 너무 두려워 불안을 통제할 수 없다면, 차라리 돈을 다 잃었다고 생각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불안이 야기할 2차, 3차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애초에 이미 다 돈을 다 잃은 상태라고 생각함으로써 뇌를 속이자는 것입니다. 물론 이것만으로 불안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최악을 상황을 상정하면 우리 뇌에서는 불안보다는 분노의 감정이 생기게 되고, 이 역동으로 인해 뇌의 각성 호르몬이 일부 생성되어 나오게 됩니다. 즉, 임시방편이지만 패닉을 멈추고 한숨 돌릴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

폭락장에서 초보자가 공황에 빠졋을떄는 대응할 것이 아니라 주식을 보지 않아야 합니다.

 

어렵겠지만 평소보다 가급적 '주식계좌에 있는 돈은 내 돈이 아니다'라고 머릿속에 생각을 심어야 합니다

 

실제로 돈을 잃어도 상관없어서가 아니라 그 돈에 집착함으로써 낭비하는 에너지와 시간을 아끼자는 뜻입니다.

 

물론 가장 좋은 방법은 주식에 투자한 돈을 아예 까먹고 몇 년 뒤에 계좌를 열어보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거의 대부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만에 하나몇 년 만에 까 본 주식이 손실이 났더라도 그동안 무수히 낭비했을 에너지와 시간, 심적인 고통 멘털 붕괴 등을 생각했을 때 무조건 남는 장사라고 생각합니다.

주식투자주식투자주식투자
주식투자

둘째, 일희일비하지 마라.

주식은 평생의 동반자입니다. 한두 번으로 자신이 주식 고수가 된 것처럼 거만해져서도 안되고, 몇 번의 손실을 경험했다고 자기 비하를 해서도 안 됩니다. 이러한 양극화된 지평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저 겸손하고 묵묵히 주가 변동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사람은 상담을 받으러 갔을 때, 절대 다시는 주식에 손을 대시 않을 거라고 장담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것은 이성적인 접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끌어야 할 것은 주식이 아니라, 어리석은 방식으로 투자하는 습관인데 말이죠.

당신의 성격, 투자성향, 여유자금, 직업적 특성, 가족 환경 등을 고려해서 다양한 투자방법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를 결정하고, 여유자금의 10~30% 중 얼마만큼 묶여도 좋은지를 숙고해야 하는 것이지 투자 자체를 할지 말지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

당신의 인생이 그러하듯, 투자의 길고 긴 여정에서도 무수한 실패와 성공 희로애락을 필연적으로 겪게 될 겁니다.

 

돈은 잃어도 시간을 잃어서는 안 된다.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자산은 돈이 아니라 시간입니다.

우리는 주식투자에 과도하게 집착한 나머지, 다양한 공부와 경험으로 자신을 발전시켜야 하는 시간에 주식에 몰두해서 타이밍을 놓치기도 하며, 가족들과 함께 보내야 할 시간에 건성으로 임하기도 합니다.

가장 소중한 우량 주는바로 자기 자신이며, 내 일상의 행복이 투자의 안정성을 지탱하는 법입니다.

현명함과 인내는 여유와 안정감에서 나옵니다. 일상이 행복하고 안정된 사람은 똑똑한 투자자가 될 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행복과 성공의 열쇠는 오직 시간 안에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1)

Designed by JB FACTORY